황선우, 1분40초 벽 깼다…쇼트코스 자유형 200m '2연패'
한국 수영의 간판 황선우(19·강원도청)가 쇼트코스(25m) 세계선수권 자유형 200m에서 아시아 기록과 대회 기록을 동시에 갈아치우며 2연패에 성공했다.

황선우가 18일 2022 국제수영연맹(FINA) 쇼트코스 세계수영선수권 남자 자유형 200m 결선에서 1위로 터치패드를 찍은 뒤 기록을 확인하고 있다. AP=연합뉴스
황선우는 18일 호주 멜버른 스포츠앤드아쿠아틱센터에서 열린 2022 국제수영연맹(FINA) 쇼트코스 세계수영선수권 남자 자유형 200m 결선에서 1분39초72의 기록으로 가장 먼저 터치 패드를 찍었다. 2위로 들어온 롱코스(50m) 세계선수권 자유형 200m 우승자 다비드 포포비치(루마니아·1분40초79)와 1초07 차가 났을 정도로 압도적이었다.
출전 선수 중 유일하게 1분40초 벽을 깬 황선우는 2018년 중국 항저우 대회에서 다나스 랍시스(리투아니아)가 세운 종전 대회 기록(1분40초95)을 다시 썼다. 또 파울 비더만(독일)이 2009년 작성한 세계 기록(1분39초37)에 0.35초 차까지 다가갔다.
황선우는 이 대회 '디펜딩 챔피언'이다. 지난해 12월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에서 열린 제15회 대회에서 1분41초60로 자신의 메이저대회 첫 금메달을 수확했다. 1년 만에 다시 나선 쇼트코스 세계선수권 200m에서 다시 정상에 오르면서 여전한 기량을 뽐냈다.
대회 시작부터 예감이 좋았다. 황선우는 이틀 전인 16일 남자 계영 800m 결승에서 1분40초99에 200m 지점을 통과해 개인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단체전 첫 번째 영자의 기록은 같은 영법과 거리의 개인 기록으로도 인정하는데연패kb 금융 주식 KB 한국의 첫 영자로 나선 황선우가 2016년 박태환이 쇼트코스 세계선수권에서 세운 자유형 200m 한국 기록과 아시아 기록(1분 41초03)을 한꺼번에 다시 썼다. 한국은 황선우의 역영을 앞세워 6분49초67로 계영 800m 한국 신기록도 세웠다.

황선우가 18일 2022 국제수영연맹(FINA) 쇼트코스 세계수영선수권 남자 자유형 200m 결선에서 1위로 터치패드를 찍은 뒤 기뻐하고 있다. AP=연합뉴스
황선우는 주 종목인 200m 결선에 모든 힘을 쏟아붓기 위해 예선에선 페이스 조절을 했다. 1분42초44의 기록으로 4조 3위에 올라 46명 중 8위로 결선에 턱걸이했다. 이 때문에 8번 레인에서 결선 레이스를 시작해야 했다. 그러나 출발 신호가 떨어지자 무섭게 치고 나가 라이벌들을 모두 따돌렸다. 가장 불리한 레인에서 황선우의 2연패 역사가 나왔다.
배영은 기자 bae.youngeun@joongang.co.kr
-
"쌀 관세화 갈등, 소통 약속 안지킨 당국 책임"尹대통령 다음주부터 떠나는 분 있을 것…대대적 인적쇄신 예고송하진 전북도지사 "창조시대, 협업 중요"'캄보디아 아내 사망' 남편 또 승소...보험금 89억원 받는다[비하인드컷] 가사가 다 들리는 마법만취상태서 “사람을 죽이러 간다” 예고…50대 현행범 체포"난 촉법소년" 대전 교사 가해 학부모 신상 폭로 계정 난리났다이완구 측 "내년 총선 출마로 명예회복할 것"OPEC+, 하루 100만배럴 추가 감산에 합의 < 국제뉴스 < 기사본문[사설] 기성세대를 부끄럽게 만든 한국팀 롤드컵 우승 쾌거
- ·곰팡이 세상, 인간은 지하로…김초엽의 디스토피아 지구
- ·연세암병원 폐암센터, 국제폐암학회가 꼽은 아시아 최고 다학제팀
- ·“돈 돌려줘” 문자 148통…전 여친 6개월 스토킹한 30대 집유
- ·연세암병원 폐암센터, 국제폐암학회가 꼽은 아시아 최고 다학제팀
- ·양아버지와 커플 춤 춘 이유…파격적인 ‘19금 오페라’
- ·[분수대] 리스크
- ·"17세 딸, 유방절제술 막아달라" 소송 건 英부모…법원 기각 왜
- ·문재인 "국정원 해킹의혹, 반국가적 범죄…국회 조사해야"
- ·영종·제주 복합리조트 지원…새만금 관광레저 '찬물'
- ·현대차 임단협 난항…노조 "13일 14일 4시간씩 파업하겠다"
- ·문재인 "국정원 해킹의혹, 반국가적 범죄…국회 조사해야"
- ·태평양 섬나라까지 훑었다…기업들 175개국 ‘엑스포 출장’|동아일보
- ·[뉴욕전문가 시각] 델타 변이 여파 주목 < 국제뉴스 < 기사본문
- ·[황원묵의 과학 산책] 제각각 생체 시계 맞추기
- ·檢 '신학림 1억6500만원 책값 의혹' 조사...출판사 대표 소환
- ·[박정호의 시시각각] ‘빈대당’ 퇴치법
- ·한일, 3번째 軍위안부 협의…구체 해법 조율 주목
- ·백선엽 논란 나비효과…동상 있는 칠곡 기념관 관람객 5배↑
- ·장사 안되는 상가, 월세 인하 요구할 수 있다 [부동산 빨간펜]|동아일보
- ·5G보다 더 비싸다니…이번엔 LTE 요금 압박 나선 정부
- ·中 8월 외환보유액 3조2천321억달러…전월 대비 감소 < 국제뉴스 < 기사본문
- ·해수부 추경 전액삭감 논란
- ·전북도의회 정책연구실 '규정 따로 운영 따로'
- ·[사설] 한동훈 차출설 논란…여당, 당권 싸움 몰두할 때인가
- ·한병도, 추경호 부총리 독대, “새만금 예산 반드시 복원해야”설득
- ·전교조·공무원 노조 전임자, 세금으로 월급 준다…최대 年 627억
- ·완주 전세사기 피해 전북도 ‘뒷짐’…외국인 다수 세계적 망신 피해야
- ·[속보] ‘뇌물 수수’ 은수미 전 성남시장 징역 2년 확정
- ·[세컷칼럼] ‘싸가지 없다’는 이준석의 신당, 왜 화제일까
- ·[사설] 기성세대를 부끄럽게 만든 한국팀 롤드컵 우승 쾌거
- ·中 상하이증시, 동시호가서 0.23%↓…선전 0.10%↓ < 국제뉴스 < 기사본문
- ·한동대, KOSAC 전국대회 은상 수상
- ·새정연 총선 공천 화두 개혁·기득권 내려놓기
- ·尹대통령 다음주부터 떠나는 분 있을 것…대대적 인적쇄신 예고
- ·與 "여야 합의정신 훼손불가…대화노력은 계속"
- ·내년 총선 의원정수 늘어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