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MC 의사록, 연준의 '우선순위'에 주목하라 < 국제뉴스 < 기사본문

(서울=연합인포맥스) 강수지 기자 = 이달 초 열린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의사록 공개를 앞둔 가운데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 동결 후 무엇에 우선순위를 뒀을지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집중됐다.
21일 마켓워치에 따르면 FOMC 의사록은 현지 시각으로 21일 오후 2시(한국시간 22일 새벽 4시)에 공개된다. 최근 10월 물가와 고용지표 등이 눈에 띄게 완화하면서 국채금리가 반락한 만큼 연준의 우선순위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준은 지난 7월 금리를 마지막으로 인상한 후 연방기금(FF) 금리 목표를 5.25~5.50%로 유지하고 있다.
지난 회의 후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위원들이 아직 인플레이션 진전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으며 통화정책이 충분히 제한적이지 않을 수 있다"며 "채권 금리 상승이 올가을 금융 상황을 더욱 긴축시키는 데 기여했다"고 말했다.
불확실성과 위험을 감안해 신중하게 진행하고 있다면서도 국채금리 상승의 긴축 효과를 인정한 셈이다.
지난 10월 노동시장은 눈에 띄게 완화했다. 경제의 일자리 창출 속도와 임금 상승률은 둔화했으며 실업률은 3.9%로 상승했다.
소비자물가지수(CPI) 역시 휘발유 가격 하락으로 인해 상승 속도가 둔화했다. 물가 상승률이 둔화하면 연준이 금리를 동결하더라도 실질 금리는 더욱 제한적으로 작용하며 경제 모멘텀을 약화할 수 있다.
PNC 자산관리그룹의 마크 디자드 최고투자전략가(CIO)는 "시장의 견해는 인플레이션이 정복됐다고 선언하는 것처럼 보였다"며 "지난주 주식 랠리는 시장이 이미 승리를 선언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최근 연준 인사들의 발언은 여전히 불확실성을 강조하는 등 신중했으며 임무 완수를 선언하기에는 너무 이르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이들은 긴축 정책으로 인한 역풍이 커지고 있음도 동시에 인정했다.
리사 쿡 연준 이사는 지난주 저소득층 가구와 중소기업,의사록연준의우선순위에주목하라국제뉴스기사본문upro 장기 투자 UPRO 주택 부문의 잠재적인 재정적 부담의 조기 징후를 주의 깊게 관찰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12월과 1월 금리 인상 가능성을 각각 0%와 2.1%로 반영하고 있다.
EY의 그레고리 다코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인플레이션과 소비자 수요에서 나타난 징후는 연준이 내달 금리 동결을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며 "연준의 긴축 주기가 완료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sskang@yna.co.kr(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15시 23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0억 쏟아부은 영화인데…이선균 '마약 의혹' 폭탄 맞았다'文대통령 며느리 연구비 유용' 의혹에…산업장관 “사실관계 파악할 것”소주·맥주 가격 담합했나…공정위, 수도권 주류 도매협회 현장조사잉글랜드은행, 5명 위원 동결 찬성…4명 인상 요구 < 국제뉴스 < 기사본문[에버라드 칼럼] ‘중동전쟁’ 소용돌이에 휘말린 북한뉴질랜드 기준금리 5.50%로 동결(상보) < 국제뉴스 < 기사본문[이후남의 영화몽상] 모험 영웅의 마지막 귀환서머스 "연준 경제전망 너무 낙관적" < 국제뉴스 < 기사본문"그가 오빠 부대 원조"…70년대 풍미한 가수 홍민, 76세로 별세[디지털 세상 읽기] 물 들어올 때 노 젓기…넷플릭스의 ‘돈벌이’
- ·태진아 "아내 옥경이 5년 전부터 치매…아들이 대소변 받아낸다"
- ·[손민호의 레저터치] 시장님, 캐나다 화장실 가보셨나요?
- ·위기의 새마을금고…전문경영인 체제 도입하나
- ·유럽증시,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에 혼조 출발 < 국제뉴스 < 기사본문
- ·"지을 때 잘 짓지"…전북도청사 유리창 교환 비난
- ·기아도 내달부터 인증 중고차 사업 “전기차도 팝니다”
- ·[단독]한은, 잠재성장률 재추정…1%대 추락 빨라진다
- ·8월 48억弗 경상흑자 냈지만…치솟는 유가 '복병'
- ·조태열 외교 2차관 방중…정상회담 후속조치 등 협의
- ·이창용 “美 금리 인상 종료 가까워져…환율 걱정 덜게 될 것”
- ·도레이첨단소재, 구미에 탄소섬유 신공장 기공식
- ·공정위, 세계1위 3D프린터 제조사 '갑질'에 과징금 부과
- ·中 최대 화물 공항, 코로나 여파 2주 넘게 이어져 < 국제뉴스 < 기사본문
- ·[뉴욕유가] 지정학적 불안 속 소폭 하락 < 국제뉴스 < 기사본문
- ·국토부 “세종~대전 광역급행버스 연내 운행”
- ·[아침 묵상] “사람은 언젠가 죽기 마련이니 명랑하게 살아라”
- ·[이수화의 마켓 나우] 21세기 약방의 감초, 디지털치료제
- ·[디지털 세상 읽기] 물 들어올 때 노 젓기…넷플릭스의 ‘돈벌이’
- ·해수차관 “수산물 소비 위축 없어'…특별법은 사실상 반대
- ·두산 협동로봇, 교촌치킨도 튀긴다
- ·與 "여야 합의정신 훼손불가…대화노력은 계속"
- ·[뉴욕유가] OPEC+ 정책 유지·휘발유 재고 증가에 5%↓ < 국제뉴스 < 기사본문
- ·수출입은행, 중견기업 대출금리 최대 0.8%P 인하
- ·한화손보, 펨테크연구소장에 한정선 전 VISA 마케팅 총괄 선임
- ·양아버지와 커플 춤 춘 이유…파격적인 ‘19금 오페라’
- ·유인촌 신임 문체부 장관, 현충원 참배…'문화로 희망과 위로를'
- ·농촌진흥청 4일부터 업무 시작, 전주 본청 근무인원 347명
- ·'文대통령 며느리 연구비 유용' 의혹에…산업장관 “사실관계 파악할 것”
- ·우체국보험, 금리 1%p 상승 시 1146억 손실[시그널]
- ·소주·맥주 가격 담합했나…공정위, 수도권 주류 도매협회 현장조사
- ·농협, 지역농업발전선도인 시상식 개최… 지자체장 9인 선정|동아일보
- ·[뉴욕유가] OPEC+ 정책 유지·휘발유 재고 증가에 5%↓ < 국제뉴스 < 기사본문
- ·[뉴욕유가] OPEC+ 정책 유지·휘발유 재고 증가에 5%↓ < 국제뉴스 < 기사본문
- ·韓 GDP, 5년째 '실질 < 잠재'…"구조개혁 이끌 정치력 절실"
- ·노블아트갤러리, 기업도 활용 가능한 ‘아트테크’ 플랫폼 선봬
- ·삼성·애플 출신까지…포스코, AI 인재 파격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