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유가] 1주일 만에 70달러 회복 < 국제뉴스 < 기사본문
时间:2023-12-01 04:16:44 来源:挤眉弄眼网

(뉴욕=연합뉴스) 윤영숙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유가는 중국의 원유 수요를 주시하며 1주일 만에 배럴당 70달러를 회복했다.
15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7월 인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2.35달러(3.44%) 상승한 배럴당 70.62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종가는 지난 6월 8일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유가는 지난 3거래일 중에서 이틀간 올랐다.
중국의 경제지표가 부진하게 나오면서 중국의 주요 대출 금리 인하 기대가 높아졌다.
앞서 발표된 중국의 5월 산업생산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5% 증가해 전월의 5.6% 상승을 밑돌았다. 중국의 5월 소매판매도 전년 대비 12.7% 늘어 전달의 18.4% 증가를 밑돌았다. 1~5월 도시지역 고정자산투자(FAI)는 전년 대비 4.0% 늘어 전월의 4.7% 증가를 밑돌았다.
최근 중국이 7일물 역환매조건부채권(역레포) 금리를 10bp 인하한 데 이어 1년 만기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금리도 10bp 인하하면서 중국 정부가 사실상의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대출우대금리(LPR)나 지급준비율(RRR)을 인하할 수 있다는 기대가 커졌다.
프라이스 퓨처스 그룹의 필 플린 시장 애널리스트는 중국에서는 경제 지표가 혼재되고 있다며 금리를 인하하고,뉴욕유가주일만에달러회복국제뉴스기사본문디자인 경력 포트폴리오 추가 부양책이 나올 정도로 부진한 부문이 있는가 하면, 중국의 원유 수요는 오히려 경기 둔화 상황에는 부합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중국 국가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중국의 5월 원유 정제량은 6천200만미터톤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4% 증가했다. 해당 수치는 3월 기록한 역대 최대인 6천330만미터톤에 비해 역대 두 번째로 많은 수준이다.
중국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원유 소비국이다.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추가 긴축 우려는 유가의 상단을 제한했다.
플린 애널리스트는 연준이 올해 두 번 더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금리 인상 사이클이 조만간 끝날 것이라는 시장의 기대가 무너졌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것은 석유 거래에 찬물을 끼얹는 것"이라며 다만 경제 성장률이 여전히 강하고 석유에 대한 수요는 아직 꽤 좋기 때문에 연준이 경제를 망가뜨리지 않는다면 유가는 지지를 받을 것으로 예상했다.
세븐스 리포트 리서치의 타일러 리치 공동편집자는 마켓워치에 전날 발표된 미 에너지정보청(EIA) 자료에서 4주 이동평균 휘발유 공급량이 하루 924만배럴로 18개월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고 말했다.
이는 휘발유 수요에 대한 추세가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당분간은 유가에 좋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소비자들의 휘발유 소비가 여전히 강하며 여름 드라이빙 시즌이 시작됨에 따라 더 강해질 것"이라며 "다만 원유 트레이더들은 연준의 공격적인 긴축이 경제를 위협하고, 국채 수익률 곡선의 역전이 몇분기 내 침체를 예고하고 있다는 점 등 매크로 상황도 들여다보고 있다"고 지적했다.
ysyoon@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04시 39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相关内容
- ·다니엘 헤니, 14살 연하 연인과 결혼 발표…5년전 열애설 상대
- ·위로할 수 없는 슬픔, 그래도 함께 울어주자는 시인의 다독임[BOOK]
- ·전북 공유경제 토대 세운다
- ·[표] 오늘 유럽ㆍ미국 경제지표와 일정 < 국제뉴스 < 기사본문
- ·'소설가 구보씨' 만나는 여행… '구보의 구보'전 둘러보니
- ·국민연금 수익률 끌어올리려면…'기금운용위 떼어내 공사로 분리'
- ·전주시, 내년 예산안 ‘경제 살리기’ 방점
- ·정부, 태양광 비리에 줄줄 샌 전력기금 '309억' 환수
- ·노블아트갤러리, 기업도 활용 가능한 ‘아트테크’ 플랫폼 선봬
- ·90년간 쿠데타 12번 겪은 태국 '운명의 날'…총선 본투표 개시
- ·전북도, 전국 농촌융복합산업 우수사례 경진대회 7회 연속 수상
- ·"교육청 예산, 재정악화 대비 정확성 기해야"
- ·‘언홀리’ 샘 스미스?…홀렸다, 한국 관객
- ·日 닛케이, 美 빅테크 실적 부진에 하락 출발 < 국제뉴스 < 기사본문
- ·[분수대] 직무유기
- ·전북 공유경제 토대 세운다
最新内容
- ·OPEC+, 하루 100만배럴 추가 감산에 합의(상보) < 국제뉴스 < 기사본문
- ·日 닛케이, 美 빅테크 실적 부진에 하락 출발 < 국제뉴스 < 기사본문
- ·누가 감튀에 트러플을 통째 얹어요…배달음식 황당 사진 진실
- ·"교육청 예산, 재정악화 대비 정확성 기해야"
- ·아침의 문장
- ·국민연금 수익률 끌어올리려면…'기금운용위 떼어내 공사로 분리'
- ·[서소문 포럼] 워런 버핏의 선택, TSMC
- ·청와대 “‘하명수사 의혹’ 내부조사 내용 그대로 발표…거짓 없다”
- ·[표] 국내투자자 중국 주식투자 상위 종목(7일) < 국제뉴스 < 기사본문
- ·국민연금 수익률 끌어올리려면…'기금운용위 떼어내 공사로 분리'
推荐内容
热点内容
- ·개인투자자 코스피 순매수도 상위 20종목(08일) < 국제뉴스 < 기사본문
- ·'감방동지' 문희상·이해찬·심재철…DJ 내란음모사건 얽힌 인연
- ·'국민이 묻는다, 국민과의 대화' 타운홀 미팅 방식
- ·'유럽의 병자' 된 獨…4년간 '법인세 46조 감면' 처방
- ·코스닥 신용거래융자 상위20종목(06일) < 국제뉴스 < 기사본문
- ·김광수 의원, ‘장애인 방문물리치료제도 도입 토론회’ 개최
- ·누가 감튀에 트러플을 통째 얹어요…배달음식 황당 사진 진실
- ·저축은행 부동산PF 줄였지만…'30%는 요주의 대출'
- ·춘향가 소리, 100년 세월 동안 어떻게 바뀌었을까
- ·억눌렸던 해외여행 풀리니…여권 발급량 1년새 3.5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