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개혁 요구 앞에 선 건설노조, 회계 투명성부터 확보해야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지난 20일 세종시 6-3 생활권 신축 아파트 건설현장 점검을 마친뒤 건설사 관계자들과 건설노조의 불법행위와 관련한 간담회를 하고 있다. 뉴스1
불법적 조합원 채용과 장비 사용 강요 관행
‘깜깜이 회계’ 이용해 조합비 착복까지 빈번
건설노조에 대한 개혁 요구가 거세다. 건설 하도급업체들이 타워크레인 기사에게 지급하는 월례비 관행과 건설노조의 조합원 가입 강요,사설개혁요구앞에선건설노조회계투명성부터확보해야투자 플랫폼 MMS가 를 보내지 못했습니다 MMS 채용 강요 같은 불법 행위를 바로잡으라는 주문이다. 건설 현장에서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소속 건설노조의 폭력적 행태는 하루이틀의 일이 아니다. 민주노총은 이 단체 소속이 아닌 사업자를 몰아내거나 소속 사업자 채용을 강요하고 있는 것으로 공정거래위원회 조사 결과 나타났다.
또한 경찰에 따르면 건설 현장의 필수 장비인 타워크레인 기사 배정을 노조에서 순번을 정해서 하고, 건설 현장에 노조 소속 인력과 중장비를 사용하라고 강요하는 경우까지 발견되고 있다. 지난 20일 ‘건설 현장 규제개혁 민·당·정 협의회’에서 윤학수 대한전문건설협회장은 “건설노조의 이런 횡포 때문에 국민들이 200만~300만원은 추가 공사비를 더 부담한다고 확신한다”고 성토하기도 했다.
이 같은 건설노조의 불법 관행은 든든한 자금을 기반으로 한 무소불위의 노조 집행부가 있어서 가능하다. 하지만 그동안 노조의 회계에 대해 검증할 외부적 장치가 존재하지 않았다. 현행 노동조합법에는 노조의 회계감사 기준이나 외부 공개 규정이 없다. 미국의 경우 1년에 25만 달러(약 3억2000만원) 이상 예산을 운용하는 노조는 노동부에 내역을 보고해야 하고, 영국도 노조 회계에 대한 행정 관청 연례 보고를 의무화하고 있다.
노동계에서는 건설노조를 포함한 양대 노총의 전체 예산이 각각 1000억원 넘는 것으로 추산한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주는 각종 보조금도 있다. 양대 노총은 매년 감사를 받고 있다지만 중립적 외부인이 참여하지 않아 투명성이 문제돼 왔다. 이런 ‘깜깜이 회계’ 탓에 내부 비리도 빈번했다. 지난 4월에 조합비 3억7000만여원을 빼돌린 전 민주노총 지부장이 징역형을 선고받았고, 지난 6월에는 한국노총 건설산업노조 간부가 10억여원을 횡령한 혐의로 구속기소됐다. 노조 주요 집행부를 자기들끼리 임명해 제대로 감시받지 않았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지난 18일 “노조 재정 운용의 투명성 등 국민이 알아야 할 부분에 대해 정부도 과단성 있게 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민의힘은 300인 이상 노조의 회계자료 정부 제출 의무화를 골자로 한 노조법 개정안을 지난 20일 발의했다. 법에 보장된 노조의 자주성을 침해할 수 있다는 반발이 나오지만 노조의 재원을 막자는 게 아니라 투명화해서 내부의 불법행위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자는 게 노조 탄압이라는 논리는 받아들이기 힘들다. 이참에 회계를 스스로 투명하게 밝힐 수 있는 노조의 자신감도 기대해 본다.
-
박민 "KBS 편파보도 했다…임원 임금 30% 삭감" 대국민 사과[사설] 시위로 번진 간호법 갈등…야당 일방 강행 멈추라[뒷북경제]한푼이 아쉬운데…국세청, 정리보류 체납세금 75조김병환 '우크라 지원, 韓 기업 재건 참여로 이어져야'전북지역 자치단체, 해외체류아동 양육수당 1억여 지급문턱 높아진 중도금 대출…틈새 노리는 저축은행[오늘의 톡픽(TalkPick)] “다음 세대는 귀밑에 심은 폰을 갖게 될 것”상하이증시 1.86% 하락 마감…선전 3.01%↓ < 국제뉴스 < 기사본문한일, 3번째 軍위안부 협의…구체 해법 조율 주목전북도, ‘군산형 일자리’ 검토한다
- ·[표] 국내투자자 홍콩 주식투자 상위 종목(7일) < 국제뉴스 < 기사본문
- ·[분수대] 호칭 범죄, 호칭 인플레
- ·'휴게소 간식 할인한다더니 양을 줄였네'…'꼼수할인'에 '분통'
- ·[서승욱의 시시각각] 정말 꾀죄죄하다
- ·[에버라드 칼럼] ‘중동전쟁’ 소용돌이에 휘말린 북한
- ·[표] 중국 상하이은행간 금리
- ·[표] 중국 상하이은행간 금리
- ·후강퉁 거래 상위종목 (26일) < 국제뉴스 < 기사본문
- ·[표] 국내투자자 홍콩 주식투자 상위 종목(7일) < 국제뉴스 < 기사본문
- ·텍스트와 회화의 만남…그랜트, 아시아 첫 개인전
- ·강남 라이딩男 "그날 비키니女 처음 만났다…난 애 있는 유부남"
- ·정부, 연내 '상호금융 종합 발전안' 마련…10월중 예금 일일 모니터링도
- ·끝까지 그림 그리다 떠났다…'단색화 거장' 박서보 화백 별세
- ·[사설] SM 인수전 타결…K팝 재점검, 재도약의 계기 돼야
- ·이승기 울린 권진영 대표 "개인 재산 처분해 책임지겠다"
- ·[사설] 오늘 3년 만의 학교 정상화, 교육의 기본으로 돌아가자
- ·中 인민은행 부행장, 금융산업 규제 강화 예고 < 국제뉴스 < 기사본문
- ·[오병상의 코멘터리] ‘이재명 표결’반란은 혁신요구다
- ·[그 영화 이 장면] 더 웨일
- ·[매파 잭슨홀] 달러, 0.5% 넘게 상승…亞 통화 약세 < 국제뉴스 < 기사본문
- ·음악저작권 4개 단체, 매장음악 공연권 인식 제고를 위한 홍보 캠페인 전개
- ·[표] 국내투자자 홍콩 주식투자 상위 종목(25일) < 국제뉴스 < 기사본문
- ·[오늘의 톡픽(TalkPick)] “다음 세대는 귀밑에 심은 폰을 갖게 될 것”
- ·"어떤 슬픔은..." 발견과 깨달음과 위안의 시집[BOOK]
- ·다니엘 헤니, 14살 연하 연인과 결혼 발표…5년전 열애설 상대
- ·[사진의 기억] 고단한 가운데 꿋꿋한
- ·한일, 3번째 軍위안부 협의…구체 해법 조율 주목
- ·[표] 주요 농산물 선물 종가 (08월 25일) < 국제뉴스 < 기사본문
- ·[중국읽기] 욕만 하면 중국 넘나
- ·‘지역활력 회복 프로젝트’ 내용과 전망은…
- ·‘노르마’ ‘투란도트’ 센 여성 오페라, 서울서 맞대결
- ·“분명히 감축” VS “그럴 일 없어”…KT, 배당 두고 ‘술렁’
- ·‘영화표 7000원으로 인하’ 무산…“다른 방식 찾아볼 것”|동아일보
- ·"어떤 슬픔은..." 발견과 깨달음과 위안의 시집[BOOK]
- ·'소설가 구보씨' 만나는 여행… '구보의 구보'전 둘러보니
- ·지난해 건보 징수액 전년보다 10.7% 늘어…부과금액의 99.5% 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