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공보건의료대학원 부지 선정 '난항'
의료원 배후지는 의료원과의 접근성과 연계성이 뛰어나다는 점에서 최적의 후보지로 꼽혔다.
의료원 주변 사유지는 면적이 넓고 민간에서 개발하기 어려운 부지여서 도심지를 확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의료원 배후지에는 장례식장과 의료진 숙소 등 의료원 필수 시설이 들어서 있어 공공의료대학원이 들어서기에는 비좁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또,국립공공보건의료대학원부지선정난항직접 자금조달 전기시설 등도 자리해 이곳에 대학원을 짓는데는 제약이 많다.
의료원 인근의 사유지도 소유주가 많고,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힌 종중 땅까지 포함돼 있다.
남원시는 의료원 인근 주요 땅 소유주로부터 협조 약속을 받았다는 입장이지만 추후 부지로 선정될 경우 매입비 등을 놓고 줄다리기가 벌어질 가능성이 크다.
이 과정에서 부지 매입이 늦어지면 정부가 애초 계획했던 2022년 개교는 물 건너갈 수도 있다.
하지만 남원시는 현재 2개의 후보지를 놓고 보건복지부와 논의에 들어갔으며, 이르면 이달 말 부지를 최종 결정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가 현지 사정에 어두운 만큼 남원시의 의견이 반영될 가능성이 크다.
일각에서는 이처럼 각종 제약에 대한 내부 검토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졸속으로 후보지가 결정될 경우 사업 자체가 지연될 수도 있다고 지적한다.
남원시 공공의대TF팀 관계자는 “남원의료원은 전북도 등과 협의할 사항이 많고 그 주변의 사유지도 매입이 쉽지 않다는 사실은 잘 알고 있다”면서 “하지만 현재로서는 최선의 방안이라고 생각하며 이해 당사자들과의 충분한 협의와 설득을 통해 차질 없이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신기철·남승현 기자
-
첫 눈보다 빨리 찾아온 '호두까기인형' 발레, 11·12일 공연국민의힘 “전북 제3금융중심지 찬성”맨해튼 노른자 땅이 캔버스…이 대지 예술가 "서울은 축복"덜 익은 생선 먹었다가 사지절단…美여성 덮친 비극, 무슨 일[중앙시평] 이민청 설립, 좌고우면할 여유 없다변곡점 맞은 '아시아 스마트 농생명밸리''설날' 학교 공휴일 지정한 뉴욕주 "중국 설 아닌 아시아 설"금리 너무 떨어졌나…BOJ, 정례 국채 매입 규모 축소 < 국제뉴스 < 기사본문[주정완의 시선] 집값 거품 책임자의 엉터리 반성문덜 익은 생선 먹었다가 사지절단…美여성 덮친 비극, 무슨 일
- ·[이하경 칼럼] “그런데 홍범도가 누구예요?”
- ·'춘천 명물' 닭갈비 깜짝 근황…세계 최고 볶음요리 2위 올랐다
- ·국민연금 수책위, 양종희 KB금융 회장 내정자 선임 찬성|동아일보
- ·위메이드 장현국 위믹스 이용한 직접 투자는 유동화 아냐
- ·라이머·안현모, 결혼 6년 만에 파경…"이혼 조정 절차 마무리"
- ·변곡점 맞은 '아시아 스마트 농생명밸리'
- ·"印모디 띄운 G20, 뉴델리 폐쇄 비용만 1600억원"
- ·美 부통령 “북러회담, 중대한 실수…韓 등 동맹국 우려”
- ·아침의 문장
- ·위메이드 장현국 위믹스 이용한 직접 투자는 유동화 아냐
- ·[백우진의 돈의 세계] ‘보합’의 실종
- ·[속보] 한밤 모로코 덮친 6.8 강진…"사망자만 최소 632명"
- ·곰팡이 세상, 인간은 지하로…김초엽의 디스토피아 지구
- ·문대통령 “국내 경제 빠르게 회복중… 내년 상반기 정상궤도”
- ·[김형석의 100년 산책] 절대 ‘꼰대 할아버지’가 되고 싶지 않았다
- ·우리은행, 포스코이앤씨와 인프라 투자펀드 300억 운용
- ·[도쿄환시] 호주달러, RBA 테이퍼링 지연 전망에 하락 < 국제뉴스 < 기사본문
- ·11월은 종합소득세 중간예납의 달…국세청, 수출부진 납세자 '납기연장'
- ·횡재세에 손발 묶였다…유럽 석유 메이저의 추락
- ·美 부통령 “북러회담, 중대한 실수…韓 등 동맹국 우려”
- ·춘향가 소리, 100년 세월 동안 어떻게 바뀌었을까
- ·이제는 필수인 '새벽배송'…중소도시 소비자 84% '우리도 이용하고 싶다'
- ·“美, 낙태권 폐기 판결 후…합법적 낙태시술 더 늘었다”
- ·“라오스 내 북한 식당, IT 노동자 사이버범죄 활용한 돈세탁 창구”
- ·노블아트갤러리, 기업도 활용 가능한 ‘아트테크’ 플랫폼 선봬
- ·[백우진의 돈의 세계] ‘보합’의 실종
- ·[도쿄환시] 호주달러, RBA 테이퍼링 지연 전망에 하락 < 국제뉴스 < 기사본문
- ·우리은행, 포스코이앤씨와 인프라 투자펀드 300억 운용
- ·[단독] 경영난 한전, 전력거래 방식 바꾼다
- ·‘맹탕국감’속 전북 현안 부각도 미약
- ·춘향가 소리, 100년 세월 동안 어떻게 바뀌었을까
- ·IPEF 7차 협상, 미국서 개최…'연내 성과 도출 목표'
- ·[김형석의 100년 산책] 절대 ‘꼰대 할아버지’가 되고 싶지 않았다
- ·‘지역균형 뉴딜’ 호재(好材)…전북형 뉴딜 순항할까
- ·[이수화의 마켓 나우] 21세기 약방의 감초, 디지털치료제
- ·장점마을 발암물질 연초박 방관한 농진청, 발암유발물질 운송트럭도 방관